미국이 기준금리 내렸으나 시장금리가 오른 이유-박종훈의 지식한방
미국이 기준금리 내렸으나 시장금리가 오른 이유-박종훈의 지식한방에 대해 다루어 봅니다. 박종훈 기자님이 KBS를 퇴사하시고 Youtube 채널을 따로 운영하시는데 옮기고 난 후 기자님의 분석을 더 자주 볼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시장금리도 내릴거라 생각했으나 오히려 시장금리는 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예상과 다른 상황인데 이에 대해서 박종훈의 지식한방 영상 통해 그 이유와 금리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ache Tistory 많은 방문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youtu.be/mIpFA9OX1gE?si=cpuHX77061GnGTqY
연준 기준금리 인하
- 9월 18일 연준이 0.5% 기준금리 인하. 그런데 10년물 국채 금리는 당시 3.68%에서 지금 4% 이상
-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은 장기 시장 금리도 올릴 가능성이 큼
- 2022년 쓴 책에서 중금리 시대가 올 것이라 전망, 다시 초저금리 시대로 돌아갈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
중금리 주장 거장
- 원조 채권왕 빌 그로스, 신 채권왕 제프리 건들락은 모두 채권으로 큰 돈을 번 사람이고 이들은 금리 예측을 잘 해서 채권으로 많은 돈을 범
- 빌 그로스는 채권투자를 피하라고 경고, 제프리 건들락도 채권 대신 금을 사라고 얘기
- 최근 가장 성공률이 높은 드러켄 밀러도 미국 국채를 공매도하고 중국에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 밝힘
- 국채 공매도는 국채 가격이 떨어지는데 투자했다는 것이고 이 말은 금리 상승에 베팅
- 15~20% 비중을 공매도 했는데 금리 인상에 대해 6개월 오를지, 6년 내내 오를지 모르겠다고 언급
드러켄 밀러
- 드러켄 밀러는 조지 소로스 퀀텀 펀드에서 일을 시작
- 조지 소로스는 파운드화 공매도를 통해 영국을 무너트린 사람, 하지만 이 공매도의 진짜 주역은 드러켄 밀러
- 이후 독립해서 본인의 펀드를 운영하며 30년 동안 평균 수익률 30.4%를 기록, 워렌 버핏은 21% 수준
- 워렌 버핏은 시장에 묻어두며 손해를 보는 해도 있지만 드러켄 밀러는 한 해도 손실을 보지 않음
- 매크로 투자 기법을 사용하는데 경기 전망을 토대로 투자를 진행하는데 국채에 대해 숏 베팅을 함
미국 금리의 이상한 움직임
- 기준금리를 0.5% 빅컷을 했는데 10년물 국채 금리는 0.3% 상승.
- 이에 대해 한국 증권 전문가, 경제지 등은 미국 경제가 좋아서라고 언급
- 하지만 드러켄 밀러는 인플레이션이 다시 살아날 것이라 전망. 대선 이후 누가 되던 국채 물량이 늘어나며 국채 금리 상승 전망
드러켄 밀러 전망에 대한 해석
- 미국 국채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가능성이 큼
- 2024년은 순 이자 지급을 위한 새로운 국채 발행으로 스노우볼 효과가 발생
- 즉 재정적자가 더 늘어나고 순이자 지출까지 늘어나면 예산처 예상보다 더 빠르게 부채가 증가할 예정
- 미국 국채는 93년에 4조 달러 수준이었으나 21년만에 9배로 증가해 35조 달러가 됨
국채 발행과 금리
- 국채 시장에서도 수요와 공급 곡선이 작동하여 국채 발행은 시중에서 돈을 빌려오며 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
- 국채 발행이 늘어나면 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결국 금리가 오르게 되는 상황
끝나지 않은 인플레이션
- 드러켄 밀러는 인플레이션이 끝났다는 보장이 없다고 말함
- 물가가 오르면 금리도 따라서 오름, 물가가 오르면 예금을 해도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로 예금을 안하며 돈의 공급이 부족. 결국 금리 상승을 부름. 은행 입장에서도 대출 금리를 올리며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
- 파월은 인플레이션이 2% 수준으로 복귀할 것이라 주장하지만 드러켄 밀러는 그렇게 보지 않는 사람
- 연준은 숫자를 보며 학문적인 연구를 한다면 드러켄 밀러는 시장의 감각을 보며 큰 돈을 투자하는 사람이라는 차이점
인플레이션을 위협하는 3가지 요소
- 하나는 바이든 정부가 4년동안 너무 많은 돈을 뿌림. 20,21년은 코로나 등으로 뿌릴만 하다지만 이미 재정 적자가 큰 상황에서 23,24년에도 세출을 늘려버림
- 이는 24년 대통령 재선을 위해 주가 부양을 위한 것
- 다른 하나는 미 연준의 긴축 중단.
- 마지막은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인데 공약들이 인플레를 촉발할 수 있는 정책들
국채 투자의 위험성
- 미국 국채가 안전자산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
- 또 듀레이션이 긴 상품들에 금리 인하를 예상하며 레버리지 상품에 투자하는 것도 위험
- 미국 단기 국채는 안전한 자산이나 장기 국채는 금리에 따라 국채 가격 변동이 심한 것이 문제
미국이 기준금리 내렸으나 시장금리가 오른 이유-박종훈의 지식한방 마무리
미국이 기준금리 내렸으나 시장금리가 오른 이유-박종훈의 지식한방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시장금리는 기준금리 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기준금리도 영향을 주는 한 가지 요인이고 시장의 상황, 국제정세 등 많은 것이 시장금리를 결정합니다. 앞으로 금리가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심지어 연준 의장인 파월도 모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 의견들이 갈리고 있지만 채권 투자로 큰 돈을 벌었던 (금리 전망을 잘했던) 채권왕들도 채권 투자를 지양하라 말을 하고 한번도 손해를 보지 않았던 드러켄 밀러도 국채에 숏베팅을 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이러한 투자를 하는 이유는 그 동안 풀린 돈, 연준의 긴축 중단, 트럼프 당선 가능성 등 다양한 요인이 있는데 이들을 그대로 따라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그들이 왜 그런 판단을 내렸는지 생각해보고 본인의 의견을 곁들여 투자를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또 금리가 오른다면 나의 대출 상황도 문제가 없을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이상으로 미국이 기준금리 내렸으나 시장금리가 오른 이유-박종훈의 지식한방 review를 마칩니다.
'유투브 강의 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강국 후진국 한국-박종훈의 지식한방 (8) | 2024.10.24 |
---|---|
이스라엘 핵무기 비밀작전-박종훈의 지식한방 (4) | 2024.10.22 |
미국 대선 초박빙? 실제는 트럼프 우위-박종훈의 지식한방 (9) | 2024.10.16 |
중국 투자 주의해야 하는 이유 박종훈의 지식한방 (10) | 2024.10.13 |
한국 핵무장론 외신이 주목하는 이유 박종훈의 지식한방 (1) | 2024.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