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플레이션3

미국은 강달러, 고금리 오래오래 가져가고 싶어 한다. (티타임즈 오건영) 미국은 강달러, 고금리 오래오래 가져가고 싶어 한다. (티타임즈 오건영) https://youtu.be/fz7gjE716V4 티타임즈에 제가 자주 보는 이효석 님과 오건영 님이 나와서 달러에 대한 얘기를 해주셔서 공부할 겸 글을 써 봅니다. 1. 최근 달러의 약세 움직임을 어떻게 보나? 일주일 만에 환율이 확 주저앉았다.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다. G20 재무장관 회의가 있었는데 의제 중 하나가 강달러에 의한 피해였다. 연준에서도 Spillover (파급효과. 특정 국가의 경제정책이 다른 나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다. 강달러로 인한 Spillover가 되려 미국 경제를 흔드는 Spillback (특정 국가의 경제정책의 여파가 다시 그 국가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작용할 수.. 2022. 12. 4.
삼프로 오건영 강의 복습. 닷컴 버블로 보는 지금의 하락장 [신과대화] 10.16_2부 삼프로 오건영 강의 복습. 닷컴 버블로 보는 지금의 하락장 [신과대화] 10.16 오건영님 영상 공부할 겸 남은 이야기에 대해서 써 봅니다. 영상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youtu.be/FdkL9 xQPWdE 1. 닷컴 버블의 시작 90 년대 나스닥 지수가 500이었는데 몇 차례 굴곡이 있을 때마다 연준이 금리 인하를 하면서 2000년 3월 5050ㄱ까지 밀어 올렸습니다. 당시 Internet의 도입으로 New Economy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컸던 시기로써 99년도에 금리 인상을 했음에도 나스닥은 폭등했습니다. 2 4 6 8 10 ~~ 20 ~~ 30 ~~ 98 이렇게 계속 오르다 보니 다음은 당연히 100일 거라고 시장은 생각을 하고 있던 것입니다. 물론 당시 닷컴 버블은 실적이 없.. 2022. 10. 19.
삼프로 오건영 강의 복습. 닷컴 버블로 보는 지금의 하락장 [신과대화] 10.16 _1부 삼프로 오건영 강의 복습. 닷컴 버블로 보는 지금의 하락장 [신과대화] 10.16 10.16 삼프로 오건영 님 영상이 올라와서 복습할 겸 글을 써 봅니다. https://youtu.be/FdkL9xQPWdE 우선 하기는 2000년 이후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입니다. 1. Deflation에 대한 기대 Inflation → 물가 상승 → 화폐가치 하락이 됩니다. 여기에서 기대 Inflation 이 증가하면 → 물가 지속 상승 → 화폐가치 지속 하락 이 고착화될 것이고 연준은 이에 대한 두려움이 있습니다. 반대로 Deflation → 물가 하락 → 화폐가치 상승이 됩니다. 여기에서 기대 Deflation 이 증가하면 → 물가 지속 하락 → 화폐가치 지속 상승이 지금까지 있었던 현상입니다. 즉 Deflatio.. 2022. 10.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