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란?

by Reache 2022. 12. 21.
반응형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란?

 이번에는 주택구입부담지수(K-HA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HAI 는 Korea-Housing Affordability Index 의 약자입니다.

 

1. 주택구입부담지수 알아보기

주택구입부담지수란 중간 소득 가구가 표준 대출을 받아 중간 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지수가 낮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완화되고, 지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가중됩니다. 가구 소득의 약 25%를 주택 원리금 상환에 부담하면 주택구입 부담지수는 100으로 산출됩니다. 2008년부터 도입되어 분기별로 발표되고 있고 지수는 지역별 및 주택규모별 (60m2 이하 , 60~85m2 이하, 85~135m2 이하, 135m2 초과)로 제공됩니다.

 

계산식은 하기와 같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 = 대출상환가능소득 / 중간가구소득(월) * 100 

 

 대출상환가능소득이란 중간 소득 가구 (가구를 소득별로 늘어놓았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가구) 가 중간가격주택 (주택을 가격별로 늘어 놓았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주택)을 구입할 때 받은 대출을 상환하기 위해 벌어야 하는 소득을 말합니다.

 

이를 확인하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houstat.hf.go.kr/research/portal/stat/easyStatPage/T186503126543136.do

 

간편통계 | 주택금융통계시스템 HOUSTAT (HOUSING FINANCE STATISTICS SYSTEM)

Home > 테마DB > 간편통계 프린트 선명도 폰트 크기 증가 폰트 크기 리셋 폰트 크기 감소

houstat.hf.go.kr

지역별 주택구입부담지수 (출처 : 주택금융통계시스템)
지역별 주택구입부담지수 (출처 : 주택금융통계시스템)

 서울을 기준으로 보면   주택 가격이 바닥을 찍었던 2013년 주택구입부담지수도 83.7 로 최저점을 찍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현재 시장이 고평가 구간에 있는지 저평가 구간에 있는지 참고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별로 집 값의 편차가 큽니다. 아무래도 서울이 가장 비싸고 그 다음은 수도권 및 지방 광역시 순으로 비쌀 것입니다. 지역별로 평균 소득도 차이가 나다 보니 지역 간 비교보다는 지역 내에서 시계열별 변화를 보는 것이 유의미해 보입니다.

 

2. 주택구입부담지수 구성요소

 지역별, 시계열별 평균값과 현재 주택구입부담지수를 비교하면 됩니다. 지표의 구성요소는 소득 , 금리, 집값 3가지입니다.

 

소득 ↑ : 매수자 매수여력 ↑ , 부담지수 ↓

금리 ↑ : 매수자 대출원리금 부담 ↑ , 부담지수 ↑

집값 ↑ : 매수자 부담 ↑ , 부담지수 ↑

 

소득 ↓ : 매수자 매수여력 ↓ , 부담지수 ↑

금리 ↓ : 매수자 대출원리금 부담 ↓ , 부담지수 ↓

집값 ↓ : 매수자 부담 ↓ , 부담지수 ↓

 

 최근에 집값이 떨어지고 있지만 거래가 적기 때문에 중간가격주택이 많이 내려가지는 않았을 것이고 금리가 가파르게 인상되면서 대출부담은 오히려 증가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택구입부담지수는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가 떨어지려면 소득 ↑ , 금리 ↓ , 집값 ↓ 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당장 떨어지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소득 : 내년 경기침체 예상으로 기업들 긴축 예상. 소득 증대 어려움

금리 :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은 상황이고 미국이 금리인상을 어디까지 할지 미정. 한미간 너무 큰 금리차는 환율에 부담이 되어 일정 수준 따라가야 할 필요성 있음

집값 : 하락 중이나 거래 멸종으로 인해 지수와 괴리 존재

 

경제가 회복이 되고 금리 인상이 멈추고 다시 하락을 하고 집값이 바닥권에서 어느 정도 거래량이 이루어져야 지수가 버블이 심하게 끼기 전 시점으로 돌아올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으로 주택구입부담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와 집값을 비교해보면 낮은 시점이 주택을 구입하기 좋은 시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집을 구매하시기 원하시는 분들은 지수를 잘 monitoring 하면서 집을 구매할 타이밍을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오르는 것들 (feat. 전기, 가스, 택시요금)  (15) 2022.12.24
PBR 이란?  (27) 2022.12.22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하는 방법  (24) 2022.12.18
GDP NOW 란?  (12) 2022.12.07
하나증권 보고서 (새로운 MZ 세대가 운다)  (14) 2022.12.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