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PBR 이란?

by Reache 2022. 12. 22.
반응형

PBR 이란?

PBR을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한경 경제용어사전)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한 주가기준의 하나로 장부가에 의한 한 주당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으로 나누어서 구한다. PBR이라고도 하며 PER(주가수익비율)과 함께 주식투자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부도사태가 빈발하고 있는 현실에서 회사가 망하고 나면 회사는 총자산에서 부채를 우선 변제해야 한다. 그러고도 남는 자산이 순자산이란 것인데, 이것이 큰 회사는 그만큼 재무구조가 튼튼한 것이고 안정적이다.

 

PBR (출처 : wallstreetmojo.com)
PBR (출처 : wallstreetmojo.com)

 

 지금처럼 기술이 발달해서 누구나 이러한 정보를 쉽게 볼 수 있지 않은 시절에는 이런 정보를 아는 사람이 소수였고 이러한 것을 이용해 많은 이익을 얻었습니다. 과거 미국 경제학자인 Eugene Fama는 효율적 시장 가설이라는 이론을 발표했습니다. 나만 따로 알고 있는 정보는 없고, 모두가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미 주식의 가격에 반영이 되어 있다는 내용 이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이를 반박하는 내용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새로운 이론을 발표했는데 그 내용은 PBR 이 낮은 주식의 주식이 주가지수나 PBR이 높은 주식보다 훨씬 높았다는 것입니다. 

 

 동종 업종의 A,B 2개의 회사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A 회사 :  시가총액 10억 원 / 자본(순자산) 5억 원 = PBR 2

B 회사 : 시가총액 30억원 / 자본(순자산) 50억 원 = PBR 0.6

 

PBR이 0.6 인 회사는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회사가 망한다 하더라도 가지고 있는 자산을 다 팔면 오히려 20억 원이 남기 때문입니다. A 회사는 상대적으로 고평가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PBR이 낮은 회사는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 있기에 투자를 하면 많은 이익을 볼 수 있고 고평가 되어 있는 회사는 투자를 해서 큰 기대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아무 회사끼리 PBR을 비교하면 안 됩니다. 동종 산업 또는 부문에 있는 여러 회사의 가치를 비교해서 가치 평가를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제조를 하는 포드 자동차와 소프트웨어 기업인 MICROSOFT를 비교하면 포드 자동차의 PBR 이 훨씬 낮습니다. FORD의 경우 자동차 생산을 위한 토지, 공장, 장비들이 있는데 반해 MICROSOFT의 경우 DATA CENTER 등을 제외하면 유형 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MICROSOFT가 가진 특허나 지적재산권등 도 무형자산이지만 이러한 것은 정확히 가치를 매기기는 힘듭니다.

 

기업간 비교 (출처 : Yahoo finance)
기업간 비교 (출처 : Yahoo finance)

 

 요즘에는 누구나 이러한 정보를 검색 몇 번으로 손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FINVIZ.COM 같은 SITE에서 Screener 기능을 활용하면 순식간에 비교도 할 수 있습니다.

FINVIZ.COM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PBR만 가지고 이 기업에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항상 기업의 재무 실적 및 성장 전망, 산업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으로 PBR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한국은행 경제전망  (31) 2022.12.25
2023년 오르는 것들 (feat. 전기, 가스, 택시요금)  (15) 2022.12.24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란?  (23) 2022.12.21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하는 방법  (24) 2022.12.18
GDP NOW 란?  (12) 2022.12.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