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값 상승에 숨겨진 비밀-박종훈의 지식한방

by Reache 2025. 1. 16.
반응형

금값 상승에 숨겨진 비밀-박종훈의 지식한방

금값 상승에 숨겨진 비밀-박종훈의 지식한방 다루어 봅니다. 박종훈 기자님이 KBS를 퇴사하시고 Youtube 채널을 운영하시는데 옮기고 난 후 기자님의 분석을 더 자주 볼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최근 금값이 크게 올랐는데 그 정확한 이유에 대해서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고 이에 대해서 금값 상승에 숨겨진 비밀-박종훈의 지식한방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ache Tistory 많은 방문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youtu.be/QMXPQPkW2q0?si=eZxoJ7JABhCyfzPC

 

 

금값의 역사

  • 금은 1871년까지 1트로이온스에 35달러로 고정. 하지만 1971년에 닉슨이 금 태환 중단 선언을 하면서 금값이 크게 상승
  • 그러다가 81년부터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20년간 하락
  • 투자 기피 대상이던 금은 1999년을 기점으로 빠르게 오르기 시작. 나스닥 지수는 2천년에 5천에서 지금 2만 정도로 4배 올랐는데 금은 11배 상승

금 가치 변화
금 가치 변화

 


 

금 투자 = 투기

  • 2019년에 금을 사야 하는 이유에 설명했지만 악플이 달렸고 금을 사는 것이 투기다라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
  • 인류는 4천년간 금을 화폐로 썼는데 달러가 금의 지위를 뺏었고 그러다 보니 금값이 튀는 걸 가장 싫어하는 것은 미국
  • 달러 패권의 확보한 지위를 위해 금 투자를 투기라는 이미지를 심었기 때문
  • 하지만 2019년 금값은 1g에 5만 5천원이고 25년 1월 5일 기준 12만8천원으로 232% 상승
  • 배당금과 환율을 고려하면 S&P500 보다 조금 못 미치지만 코스피 25% 보다는 훨씬 양호

 


 

금 투자의 필요성

  • 금 투자가 필요한 이유는 헷지 기능을 하기 때문
  • 금은 나스닥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편이기에 헷지 기능이 있다고 볼 수 있음
  • 고수익을 위해서는 나스닥 지수에 투자를 하는 것이 맞지만 헷지를 위해서라면 금에도 일정 부분 포지션을 가져갈 필요

 


 

 

금값 폭등과 횡보 이유

  • 금 값이 가장 많이 오른건 1971년 이후 10년동안 24배나 상승
  • 그 원인으로 첫째 인플레이션이 굉장히 심했음. 1969년 이후 미국의 물가가 2.5배 상승했는데 금값은 24배나 상승
  • 두번째로 2차 대전으로 생산력을 전쟁 무기를 만드는데 쓰다 보니 금을 캘 여력이 부족하며 공급 부족
  • 세번째로 금값이 35달러에 고정되자 금광업체들은 기술 개발을 하지 않고 채굴량이 크게 감소
  • 이런 와중에 금태환이 중단되자 금이 전세계적으로 부족해지며 큰 폭으로 상승
  • 하지만 1980년 이후 폴 볼커가 기준금리를 20% 가량 올리자 하락

미국 CPI와 기준금리
미국 CPI와 기준금리

  • 하지만 볼커는 방아쇠를 당겼을 뿐이고 그 이후 하락은 기술혁신과 세계화 때문
  • 금 생산에서 4번의 혁신기가 있었는데 2001년 까지가 혁명적인 기술 혁신을 겪었던 시기
  • 인류는 4천년간 금을 캐 왔는데 보유한 금의 3분의 2는 1950년 이후 채굴된 금. 또 세계화 열풍이 불면서 전 세계 금광이 개발되면서 생산 혁명이 일어남
  • 또 미국은 금값을 낮추기 위해 온갖 조치를 취함. 1980년대 이후 금값 억제를 위해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함께 금매도
  • 1980년 이후 금값을 20년동안 끌어내린 장본인이 미국 정부라는 설도 존재

 


 

 

그럼에도 금을 사야 하는 이유

  • 그럼에도 2019년부터 금을 사라고 한 이유는 2019년부터 시장 환경의 근본적인 변화가 시작
  • 2019년부터 금 채굴량이 정체되고 오히려 감소하기 시작. 금의 함유량이 줄고 단가가 올라가기 때문

금 채굴량의 정체
금 채굴량의 정체

  • 1998년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전 세계가 달러 확보를 하기 위해 노력하며 금 수요의 변화
  • 그런데 2008년부터 11년 사이 중국을 포함 여러 나라의 중앙은행이 금을 사는 비중을 늘리기 시작

11년간 금 수요
11년간 금 수요

  • 금 값이 오르면 장신구로 금을 사는 경우가 줄기 마련인데 금값이 올라도 그 수요가 줄지 않음
  • 인도나 중국 민간 수요가 늘어났는데 이들 국가에서는 민간인들이 정부를 잘 믿지 않기 때문
  • 또 파월도 금값을 증가시킨 원인중 하나. 폴 볼커는 금리를 올리면서 금값을 내리고 달러 패권을 지킴
  • 그런데 2019년 7월 보험성 금리 인하를 하며 금값 상승의 원인을 제공
  • 이전에 그린스펀이 보험성 금리 인하를 하자 1년뒤 금값이 올랐고 2019년 파월이 금리 인하를 하자 금을 보유할 필요성에 대해서 발언
  • 파월은 지금 본인 임기동안 연착륙을 시키고 싶어하기에 이런 상황에서 금값을 자극할 가능성이 큼

 


 

 

2025년 이후 금값의 미래

  • 상승요인을 보면 금 채굴량이 정체될 것이라는 점.
  • 다만 금 채굴량은 정체되어 있지만 생산량은 도시광산으로 인해 증가. (금값이 비싸지며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금을 추출)
  • 그리고 중앙은행은 금을 계속 매입할 예정이라 금값 상승의 요인
  • 또 파월이 물러나고 금리를 더 빠르게 내린다면 역시 금값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가장 큰 원인은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안 좋으면 돈을 마구 찍게 되고 이는 금값을 자극할 요소
  • 하락할 요인으로 미국이 금값 상승을 싫어함. 그러다 보니 비트코인을 대신 키우려 하고 있음
  • 그리고 미국 경제가 침체가 온다면 금값 하락 요인이 될 수 있음
  • 경기침체가 오면 신용경색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고 이는 금 매도 요인이 됨
  • 연준이 어떻게 대응을 하는 지도 매우 중요
  • 지금 금이 비싼 상황에서 금을 사는게 쉽지는 않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사둘 필요
  • 비트코인과 경쟁을 하지만 비트코인은 나스닥 지수나 경기 상황과 동행하지만 금은 역행하며 리스크 헷지
  • 미국 정부가 금값을 끌어내리는 과정에서 금값이 크게 하락할 때를 노려서 사거나 적립식으로 사기를 추천

 


 

 

금을 사는 방법

  • 금을 사서 투자를 하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KRX 금 시장에 투자
  • 한국이 망하는 수준이 아니라면 KRX 금 시장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없고 이것이 가장 싸게 살 수 있는 방법
  • 다만 금을 사려는 수요가 늘어나자 금 공급이 느려지고 김치 프리미엄이 붙기 시작. 이 부분은 주의 필요
  • 그리고 안전 자산으로 알고 있지만 금도 가격 변동성이 큰 상품으로 헷지를 위한 투자라는 점을 명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