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2 한국 부자 보고서(하나금융연구소)_1

by Reache 2022. 9. 20.
반응형

  하나금융연구소에서 발간한 2022 한국 부자 연구소 에 관해 글을 써 보고자 합니다.

 

 부자라는 말, 참 가슴 설레는 말일 것 같습니다. 사전적 의미는 돈과 같은 재산이 많은 사람을 일컫는데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선택의 폭이 넓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먹고 싶은걸 먹고, 가고 싶은델 가고, 하고 싶은걸 하는데 제약이 적다는 얘기입니다. 돈만 있으면 우주 여행도 가능한 시대입니다.

 

 

 저도 부자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먼 상황입니다. 대학교 나와서 취직하고 월급  받으면 집도 사고 정년까지 다니면 적당한 돈도 모아서 은퇴할 수 있을 거라는 착각이 깨진지 그리 오래 되지 않았습니다. 미리 좀 알고 공부를 했더라면 지금보다는 나았을 것이라는 생각에 아쉬움이 많습니다.

 아직 부자가 아니라서 돈을 아껴가며 투자를 하고 있고 식당을 가면 가격을 보게 되고 여행을 간다고 하면 비행기나 호텔을 어떻게 하면 더 싸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액티비티나 전시회 등을 가더라도 싸게 예약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부자가 된다고 해도 여전히 싸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거 같긴 합니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하지만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부자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나라마다 사람마다 천차만별일 것입니다. 아프리카나 아시아의 최빈국 에서는 천만원 가량만 있어도 엄청난 부자일 것이고 미국, 북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평범한 서민에도 못 낄 수 도 있습니다. 부자의 기준은 아니지만 어쩌다 어른 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나온 중산층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중산층이 저 정도이니 부자는 한층 높은 수준을 요할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미국
프랑스

 오래전부터 자본주의를 경험했고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와 같은 선상에서 보기는 힘들것입니다. 미국이나 프랑스에도 우리나라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지만 대다수의 생각이 저렇다는 것은 저에게 여러 생각이 들게 하였습니다. 

 야근을 하고 퇴근후에 육아를 하고 피곤에 찌든 채 잠드는 일상을 반복하니 다람쥐 쳇바퀴 도는 느낌이 들 때가 많습니다. 물론 하루가 다르게 자라는 아이의 모습을 보는 것은 즐겁지만 말입니다. 회사보다는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내고 개인적인 시간도 가져서 악기를 다루는 등 취미를 갖고 싶다보니 어서 부자가 되어서 시간을 자유롭게 쓰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그렇다면 과연 얼마나 있어야 부자란 소리를 듣고 온전히 자유로운 시간을 쓸 수 있을까?

 백만장자(100만$) 약 13.8억 이면 될까?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기는 힘들지만 이 보고서에는 그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보여줍니다. 개인적으로는 집 한채 + 배당,이자,월세 등 수익으로 세금,생활,여가 등에 드는 비용을 다 쓰고도 원금이 까이지 않고 늘어나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월 300 정도 필요하다고 하면 미래에도 그만큼만 있으면 될까? 그렇지 않습니다.. 지금은 고 인플레 상황이라 정확한 비교는 힘들지만 평상시의 인플레 상황 , 연 2% 정도만 감안해도 10년 뒤에는 350만원 의 돈이 필요하며 5% 라고 하면 거의 500만원 가까운 돈이 필요합니다.

만약 배당 4%를 받는다고 했을때 월 350을 받기 위해서는 1년에 4200만원이 필요하고 역으로 계산하면 10억5천만원 정도가 필요합니다. (세금제외) , 월 500을 받기 위해서는 15억이 필요합니다. 물론 배당을 주는 주식이 상승하면 그만큼의 시세 차익도 있지만 하락할 경우도 있으니 안전 마진을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얘기를 하다보니 막상 다뤄야 할 보고서에 대해서는 제대로 다루지 못했네요.

다음에는 보고서에 대해 자세하게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보고서는 아래 Site 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www.hanaif.re.kr/boardDetail.do?hmpeSeqNo=35150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2 Korean Wealth Report는 영리치(49세 이하의 부자)와 올드리치(50세 이상의 부자)를 비교하고 팬데믹 기간 부자의 자산관리를 분석했다. (2022 Korean Wealth Report는 우측 상단에서 PDF 파일의 형태로 다

www.hanaif.re.kr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한국 부자 보고서(하나금융연구소)_VIEW  (32) 2022.09.24
2022 한국 부자 보고서(하나금융연구소)_INSIGHT  (30) 2022.09.22
채권 가격과 금리의 관계  (4) 2022.09.06
금리란?  (2) 2022.09.05
통화량이란?  (3) 2022.08.27

댓글